용이 누워 있는 용눈이오름

구좌읍 2009. 4. 1. 20:35 Posted by jejulife
사용자 삽입 이미지
  손저봉(손자봉)과 이웃해 있는 오름으로 도로변에 차를 세우고 바로 올라갈 수 있어 정상까지 이르는 시간이 10~15분이면 넉넉하고, 정상의 분화구를 도는 시간도 10분 정도면 돌 수 있다. 높지는 않으나 산체는 넓어서 듬직한 감이 있는 오름이다. 산정부는 북동쪽의 정상을 중심으로 세 봉우리를 이루고, 그 안에 동서쪽으로 다소 트여있는 타원형의 분화구가 있으며, 전체적으로 산체는 얕은 분화구가 세 군데로 무너진 형태로 보인다. 서사면 기슭에는 정상부가 주발모양으로 오목하게 패어 있는 아담한 기생화산과 원추형 기생화산인 알오름 2개가 딸려 있다. 표고는 약 80m, 오름 기슭자락에는 따라비나 둔지봉, 서검은오름의 주변과 같이 암설 사태층의 언덕이 산재해 있는데, 이는 용눈이 화산체가 형성된 뒤 용암류의 유출, 혹은 지진에 의해 산정의 화구를 일부가 파괴되면서 용암류와 함께 흘러내린 스코리아가 이동, 퇴적된 것으로 알오름이나 언덕 같은 형태를 이룬 것으로 추정된다.

  오름의 전 사면은 목초인 겨이삭과 개민들레, 잔디, 제비꽃, 할미꽃 등 키가 크지 않은 초본류들이 서식하고 있어서 초원처럼 보이며, 와 함께 풀밭을 이루는 아름답고 전형적인 제주오름의 모습이며, 지피식물로서 미나리아재비, 할미꽃 등이 자생하고 있다.
  최근까지 방목이 이루어져고 있으나 화입을 하지 않게 되면서 차차 오름의 동사면과 아랫부분부터 찔레며 국수나무 등 초원을 잠식하는 관목류들이 들어서고 있으며, 북사면 근처에는 억새와 띠 등도 분포하고 있다.
  예전에는 꽃향유가 오름 사면을 다 덮어 보라색으로 물드는 장관이 연출되기도 했던 오름이었으나 최근에는 거의 개민들레 등의 외래종들이 독점하여 자생하고 있고, 본래의 자생식물들이 거의 자취를 감추고 있어 안타까움이 들게 하는 오름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제주도 북제주군 구좌읍 종달리 산 26~47번지 일대

  남북으로 비스듬히 누운 이 오름은 부챗살 모양으로 여러 가닥의 등성이가 흘러내려 기이한 경관을 빚어내며 오름 대부분이 연초록 양탄자를 깔아 놓은 듯한 풀밭으로 이루어져 있다. 등성이마다 왕릉 같은 새끼봉우리가 봉긋봉긋하고 오름의 형세가 용들이 놀고 있는 모습이라는 데서 '용논이'[龍遊] 또는 마치 용이 누워있는 형태라는 데서 '용눈이'[龍臥]라고 했는지 모른다. 표고는 248미터이다.
  동쪽 비탈은 남동쪽으로 얕게 벌어진 말굽형을 이루고, 남서쪽 비탈이 흘러내린 곳엔 곱다랗게 생긴 알오름이 딸려 있다. 오름 위에는 굼부리가 있고 그 둘레에는 큰덩치의 세 봉우리가 둘러서 있는데 북동쪽의 것이 가장 높다. 오름 기슭에는 용암 부스러기로 이루어진 언덕이 산재해 있고, 지피식물(地被植物)인 미나리아재비, 할미꽃, 꽃향유 등이 자생하고 있다. 오늘날의 지도에는 '용와악'(龍臥岳)으로 표기하고 있으나, 원래 이름은 '용논이오름' 또는 '용눈이오름'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동영상] SS852037


[동영상] SS852038


[동영상] SS852039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동영상] SS852042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동영상] SS852045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예전에 보이지 않던 풍력발전기가 6기 설치되어 있다.


[동영상] SS852048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오른쪽 초지로 보이는 오름이 손자봉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반응형
소재지 : 서귀포시 성산읍 시흥리 산 1-5번지

[두산봉]
표   고 : 126.5m
비   고 : 101m
둘   레 : 3,631m
면   적 : 924,938㎡
저   경 : 1,232m

[알오름]
표   고 : 145.9m
비   고 : 51m
둘   레 : 1,613m
면   적 : 142,515㎡
저   경 : 463m

  성산읍 시흥리 시흥초등학교 뒤편에 위치한 오름으로, 시흥초등학교 남쪽으로 난 농로를 따라가면 오름 정상까지 오를 수 있으며, 이길은 오름 분화구내를 관통하여 구좌읍 종달리로 연결되어 있다.
  이 오름은 응회환으로 된 수중분화구 내부에 이차적으로 생성된 화구구(火口丘)인 분석구를 갖고 있는 전형적인 이중식 화산체이다.
  동사면에서 남사면에 이르는 화구륜은 침식되어 절벽을 이루고 있으며, 반대쪽인 북서쪽 사면에는 풀밭의 평지를 이루고 있다.
  이 화산체의 형성과정은 단성(單成)의 이중식(二重式) 화산(火山)의 이론으로 설명이 가능하다. 제주도의 해안지역에서는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화산체가 일정한 경향을 보이며 분포하고 있다. 특히 이들 지역중에서도 성산포지역과 모슬포지역이 대표적인 모식지(type locality)라고 할 수 있다.
  성산포지역은 일출봉과 두산봉, 그리고 쇠머리오름으로 이어지는 삼각지대의 수중화산이자 융기지형으로, 수중화산쇄설성 퇴적층이 만들어진 시대는 서로 다를지 모르나 현재의 표고를 감안할 때 이 세 화산체의 수중화산쇄설성퇴적층들은 상당한 높이에 까지 융기된 것을 알 수 있다.
  두산봉은 얕은 바다속에서의 화산분출활동에 의해 응회환의 퇴적층이 형성된 후에 퇴적층 자체의 성장과 함께 융기활동에 의해 기생화산체의 환경이 수중에서 육상으로 변하게 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어서 계속된 분화활동은 화구가 직접적인 물과의 접촉이 차단된 육상환경으로서 소위 스트롬볼리식 분화활동에 의해 화구구(火口丘)인 스코리아(송이)로 이루어진 새로운 분석구(scoria cone)를 만든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즉, 응회환(tuff ring)의 화구내에서의 또 다른 화산체인 화구구는 기생화산의 형성과정에 있어 수중환경에서 육상환경으로의 변화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런 기생화산을 단성(單成)의 이중식 화산이라고 하고 있다. 두산봉 응회환의 화구구를 마을사람들은 알오름이라 부르고 있다.
  남동쪽사면 중턱까지 곰솔숲을 이루고, 급경사지의 사면에 환경부 특정야생 동식물 지정된 왕초피(식-82호), 남서절벽 하부에 개상사화(식-22)가 식생하고 있고, 분화구 내에는 참억새와 띠가 군락을 이루며, 그 밑으로 야고가 집단적인 군락을 이루고, 북서사면의 느슨한 평지에는 풀밭을 이루면서 농경지가 조성되어 있다.

제주도(1997.12.20), 제주의 오름, pp. 387~388.
반응형
소재지 : 제주시 조천읍 교래리 산119번지

[큰지그리]
표   고 : 598m
비   고 : 118m
둘   레 : 2,164m
면   적 : 344,976㎡
저   경 : 813m

[족은지그리]
표   고 : 504m
비   고 : 69m
둘   레 : 1,742m
면   적 : 120,674㎡
저   경 : 485m

  제주시 봉개동에 위치한 민오름과 시·군 경계를 이루면서 서로 이웃해 있는 오름으로, 번영로(동부산업도로)와 남조로가 교차하는 사거리에서 남원방향 약1.5Km지점의 조천읍 새마을 공동목장 안에 위치해 있다. 이 오름은 산체의 대부분이 조천읍 교래리에 속해 있으면서 북쪽 기슭에는 작은오름 하나를 거느리고 있는데, 이는 이오름(큰지그리)과 구분하여 족은지그리라 부르고 있다.
  민오름쪽에 있는 큰지그리는 남서쪽으로 벌어진 말굽형 화구를 이루고 있고, 바농오름쪽에 있는 족은지그리는 큰지그리와 등을 맞대고 초승달 모양의 말굽형 분화구가 남동쪽으로 넓게 벌어져 화구방향을 달리하고 있으며, 큰지그리와의 접촉부인 한구석에는 화구륜의 일부가 침식되어 남은 독립된 자그마한 동산이 탐스럽게 솟아있다.
  큰지그리는 자연림의 울창한 숲을 이루며, 주변으로는 초지와 곶자왈로 이어져 있고 족은지그리는 주로 아담한 풀밭사면에 부분적으로 자연림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주도(1997.12.20), 제주의 오름, p. 318.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입구부터 민오름 정상 까지는 산책로가 계단으로 잘 정비되어 있어 누구나 쉽게 오를 수 있다.


[동영상] SS851943


[동영상] SS851944


[동영상] SS851945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절물오름과 한라산
민오름과 절물오름 사이에 아래 동영상(851947)에 보이는 도로가 지나간다. 이 도로에서 트레킹 코스를 따라 쉽게 정상에 오를 수 있다.


[동영상] SS851947


[동영상] SS851948

사용자 삽입 이미지

민오름 정상에서 보는 절물오름과 한라산

사용자 삽입 이미지

민오름에서 보는 남동(표선면·성산읍) 방향 오름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동영상] SS851955
정상을 뒤로 하고 민오름을 지나 큰지그리오름까지 트레킹을 하기로 했지만, 이후의 민오름 길이 정비가 되어 있지 않아 결국 1시간여 헤맨 끝에 나온 곳이 한화리조트이다.
여기서 부터 익숙하지 않은 분께는 트레킹을 권하지 않는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큰지그리오름


[동영상] SS851964
민오름 아래 곶자왈 지역


[동영상] SS851965


[동영상] SS851966


[동영상] SS851967

사용자 삽입 이미지

큰지그리오름


[동영상] SS851969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한화리조트

사용자 삽입 이미지

민오름 뒤로 보이는 큰지그리오름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한화리조트 방향에서 보는 민오름

사용자 삽입 이미지

큰지그리오름

사용자 삽입 이미지

거친오름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한화리조트에서 보는 족은지그리오름과 바농오름

사용자 삽입 이미지

큰지그리오름

사용자 삽입 이미지

왼쪽 민오름과 절물오름
반응형
소재지 : 제주시 구좌읍 종달리 산15~22번지
표   고 : 179.6m
비   고 : 75m
둘   레 : 2,049m
면   적 : 209,307㎡
저   경 : 674m

  용눈이오름과 두산봉 중간지점에 위치한 오름으로, 일명 윤드리오름으로 통한다.
  북제주군 구좌읍과 남제주군 성산읍의 접경지대에 위치한 이 오름은, 종달리에서 송당리 방향의 군도(郡道)를 따라가면 도로변 좌측에 접해 있어 쉽게 오를 수 있다.
  동쪽 등성이는 짧고 가파르면서 북-북동방향으로 넓게 벌어진 말굽협 화구를 이루고 있고, 보는 방향에 따라 딴 오름이라 할 만큼 그 모습을 달리하는 형태를 띠고 있다.
  남동사면에는 삼나무, 해송이 조림되어 숲을 이루고 그외 지역은 풀밭오름으로 북동사면에 애기우산나물이 군락을 이루고 있다.

제주도(1997.12.20), 제주의 오름, p. 285.
반응형
소재지 : 제주시 구좌읍 종달리 산28번지
표   고 : 247.8m
비   고 : 88m
둘   레 : 2,685m
면   적 : 404,264㎡
저   경 : 773m

  송당에서 성산읍 수산으로 가는 16번도로로 약 3Km 지점의 두갈래 길에 손자봉과 이웃해 있는 오름이다.
  산정부는 북동쪽의 정상봉을 중심으로 세봉우리를 이루고, 그안에 동서쪽으로 다소 트여있는 타원형의 분화구가 있으며, 전체적으로 산체는 동사면쪽으로 얕게 벌어진 말굽형 화구를 이루고 있다.
  서서면 기슭에는 정상부가 주발모양으로 오목하게 패어있는 아담한 기생화산과 원추형 기생화산인 알오름 2개가 딸려 있어, 용눈이오름은 여러종류의 화구로 이루어진 복합형 화산체라고 할 수 있다.
  오름 기슭자락에는 따라비나 둔지봉, 서검은오름의 주변과 같이 용암암설류(volcanic debric flow)의 언덕이 산재해 있는데, 이는 용눈이 화산체가 형성된 뒤 용암류(熔岩流)의 유출에 의해 산정의 화구륜(火口輪) 일부가 파괴되면서 용암류와 함께 흘러내린 토사가 이동, 퇴적된 것으로 알오름이나 언덕같은 형태를 이룬것으로 추정된다.
  이로 미루어 이 오름의 용암은 비교적 가까운 시기에 분출된 용암으로 판단되고 있으며 '기생화산'이라는 용어는 원론적으로 한라산 순상 화산체의 화산산록상에서 화산분화활동에 의해 만들어진 소화산체이므로, 용눈이오름과 주변의 오름과 같이 한라산 중산간을 돌아가며 화산용암류의 산록상에서 분화구를 갖는 작은 화산을 의미한다.
  오름의 전사면은 잔디와 함께 풀밭을 이루는 아름답고 전형적인 제주오름의 모습이며, 지피식물로서 미나리아재비, 할미꽃 등이 식생하고 있다.

※ 오름명의 유래
ㆍ마치 용이 누워있는 형체라는 데서 연유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한자로는 용와악(龍臥岳)으로 표기돼 있다.
ㆍ산 복판이 크게 패어있는 것이 용이 누웠던 자리 같다고 해서 용눈이오름이라 부른다는 설도 있다.

제주도(1997.12.20), 제주의 오름, pp. 286~287.
반응형
소재지 : 제주시 봉개동 산64번지 일대
표   고 : 651m
비   고 : 136m
둘   레 : 3,433m
면   적 : 581,910㎡
저   경 : 1,042m

  번영로(동부산업도로)에서 봉개동 명도암으로 난 도로를 따라 약 5.7Km 올라가면 절물오름이 있는데, 이 오름과 인접해 도로건너 북동쪽에 위치해 있다. 행정구역상 제주시 봉개동과 조천읍 교래리, 와흘리의 경계에 걸쳐져 있으며, 남쪽 봉우리를 주봉으로 서너개의 작은 봉우리가 완만한 기복의 등성이를 이루면서 북동쪽으로 터진 말굽형 화구를 이루고 있다. 말굽형 화구 침식부는 그 형태가 잘 보존된 소위 혀 내민 모양(tongue-like type)을 하고 있으며, 말굽형 화구 상단부, 즉 주봉의 안쪽 사면에는 깊이가 약 70m쯤 되는 깔데기형 화구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말굽형 화구안에는 수풀이 우거진 가운데 오름 전사면은 울창한 자연림을 이루고 있다.

※ 오름명의 유래
오름에 나무가 없다는데서 '민오름'이라고 부르고 있다는 견해도 있으나 현재는 자연림이 빽빽이 차 있다. 달리 '무녜오름'이라고 부른 것은 세무진 산머리가 '송낙' 같다는데 연유한다고 하며, '민악(敏岳)'은 민오름의 한자어이다.

* 송낙 : 소나무 겨우살이로 만든 여승의 모자로, 제주무당들이 쓰는 고깔

제주도(1997.12.20), 제주의 오름, p. 142.
반응형

밝은오름 - 명악

제주의 오름/제주시 2009. 1. 19. 11:23 Posted by jejulife
소재지 : 제주시 해안동 355-21번지 일대
표   고 : 337m
비   고 : 37m
둘   레 : 765m
면   적 : 33,180㎡
저   경 : 299m

  제주시 눈오름 남서방향 약 2Km 지점, 해안공동묘지 남동쪽 임야에 평평하게 가로 누워있는 자그만 풀밭오름으로, 오름의 흙이 붉다는 데서 밝은오름(明岳), 또는 붉은오름(赤岳)이라 부르고 있다. 이 오름과 같은 이름으로 불리우고 있는 오름은 한림읍 금악리 이시돌 목장안에 위치한 오름과 명월리 명월오름, 상명리 마을 어귀에 위치한 오름, 안덕면 동광리 마을 동쪽에 위치한 오름등 도내 5개가 있다. 동남쪽으로 '진테왓'(긴잔디밭), 북쪽으로 '굽은동산', 서쪽으로 해안동, 동쪽으로 월산(月山)으로 연결되는 길이 나있다.

제주도(1997.12.20), 제주의 오름, p. 106.
반응형

관음사와 4·3유적

한라산/관음사코스 2008. 12. 11. 14:38 Posted by jejulife
제 15회 역사교실
제주 역사와 오름
일시 : 2008년 11월 15일~12월 6일
주최 : (사)제주4·3연구소 · (사)제주역사문화진흥원

2008-12-06 4회
오름과 4·3
오승국(4·3연구소 상임이사)

기행코스 : 오림반(부장대 훈련장)-물오름(경찰주둔지)-이승이악(주민대피처)
실제코스 : 관음사 4·3유적-점심

  금요일날 부터 시작된 한파가 제주도에 첫눈을 선물 하는가 싶더니, 급기야 6일(토요일)까지 제주를 꽁꽁 얼어붙게 했습니다. 갑자기 조정된 일정에 따라 제주시내에서 가까운 4·3유적이 있는 관음사로 코스가 변경 됐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한라산 관음사 안내

  제주도에 불교가 최초로 전래된 시기는 한반도에 귀속되기 전인 탐라국 시대이고 불교 유입경로는 본토의 북방불교와 달리 해로를 통하여 남방불교가 전래되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관음사는 불교전래 초기에 창건되어 발전했을 것으로 추측하는 바, 그 근거는 제주의 여러 가지 신화, 전설, 민담에 관음사를 괴남절(제주 방언으로 관음사), 개남절, 동괴남절, 은중절이라고 민간에 유포되어 전해오고 있기 때문이다. 구전에는 관음사가 고려 문종 년간에(1046~1083) 창건되었다고 전해왔다. 동국여지승람이나 탐라지에는 관음사가 조천 포구 위에 있었다고 기록되었 있다.
  조선 숙종임금 때인 1702년 당시 목사 이형상에 의하여 제주의 사찰들이 완전히 폐사되었고-이로부터 200년간 제주에는 불교와 사찰이 존재하지 아니하였다. 1908년 10월 비구니 안봉려관스님이 현재의 위치에 옛 관음사(고려?대)를 복원함으로써 민간에 스며들어 전해오는 제주불교를 다시 재건하게 되었다.
  현재 관음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23교구본사로서, 한국불교의 정통성을 제주지역에서 대표하여 신앙적 종교적으로는 종파를 초월하여 제주불교를 대표하는 사찰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관음사와 4·3유적

- 1948년 4월 3일(당시는 대한민국정부 수립이전 미군정시대임)을 기하여 제주도 전역에 소요와 혼란이 발생하였고 이를 진압하는 과정에 중산간에 위치한 마을들이 없어지고 수많은 사람들이 죽음에 이르게 되는 사태의 진전을 통칭 4·3사건이라고 한다.
- 당시에 선량한 제주도민 대다수는 낮에는 토벌대에 몰리고 밤에는 입산무장대에 몰려서, 뺏기고 맞고 도망다니다가 죽음에 이르게 되는 무수한 사연들이 속출했었다.
- 사태진전과 진압과정에 많은 사람들이 반국가 사범으로 취급되어 무참하고 잔인하게 재판 없이 현장에서 죽임을 당하였다.
- 관음사의 위치가 전략상 요충지였는지, 토벌대와 입산무장대가 관음사 지역을 중심으로 상호간에 첨예하게 대치하였고 이러한 과정에 관음사는 안타깝게도 모든 건물과 시설이 전소되었다.
- 관음사 도량을 중심으로 사방 주변 일대에 크고 작은 경계참호와 부대 숙영시설을 설치 하였는 바, 그 유적들이 보존되어 4·3사태 진전시 제주의 참극이자 민족의 비극을 생생하게 증언하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일주문

  이 문은 일주문이라고 한다.
  부처님께서 깨우치신 인생과 우주에 대한 진리 통달이 일심(一心)의 도리를 깨달음으로부터 비롯된 것이라는 의미와 이 세상 천지만물 모든 법이 한 마음의 작용으로부터 전개되는 것임을 상징적으로 나타내는 의미가 담겨 있는 문이다.


[동영상] 0555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제주전통문화관광지 조성을 위한 한라산 관음사 성역화 불사 조감도


[동영상] 0557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천왕문(四天王門)

  이 문은 사천왕문이라고 한다.
  큰 깨달음을 성취하여 부처님의 지위에 이르게 되면 동서남북 하늘을 주재하는 천신들도 부처님을 받들어 공양하면서 부처님 법을 배운다는 것이다. 그래서 모든 부처님을 사천왕이 옹호하기 때문에 누구든지 부처님께 경배 하려면 천왕이 지키는 관문을 통과 하여야 된다는 뜻에서 이곳에 사천왕문을 세운 것이다.
  현재의 사천왕문은 1948년 4·3사태 관계로 불타버린 것을 1973년 이재은 님의 화주로 김해정님이 시주하여 지은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동영상] 0561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오승국(4·3연구소) 상임이사가 유적에 대한 해설을 하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4·3 유적이 산재한 관음사 뒷 봉우리

사용자 삽입 이미지
고드름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은행나무

사용자 삽입 이미지


[동영상] 0570


[동영상] 0571


[동영상] 0572

사용자 삽입 이미지
눈 쌓인 4·3유적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동영상] 0579
  관음사 4·3 유적을 둘러본 후, 스케쥴 변경으로 인해 시간도 여유롭고 관음사 뒷 봉우리를 오르기로 하였다. 오승국 4·3연구소 상임이사님의 설명이 관음사에서 아미산(? 또는 아미오름)으로 부른다고 하여, 자료를 찾아 봤지만, 서적과 인터넷 상에서 공신력 있을만한 자료를 찾지 못하였다.
  오름(oreum.kr)에서는 우선적으로 한라산 관음사코스로 분류하였다. 차후 관음사 뒷 봉우리가 오름인지 확인하여 추가 게재 하기로 한다.


[동영상] 0580


[동영상] 0582


[동영상] 0589


[동영상] 0590

사용자 삽입 이미지
대웅전

사용자 삽입 이미지
관음사목조관음보살좌상

제주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16호
소재지 : 제주시 아라1동(관음사 경내)

  17세기 후반 목조로 제작된 좌불상으로서 관음사에 소장되어 있다. 불상의 복장유물을 보면 1698년 불상이 조성되어 전라남도 영암군 성도암에서 개금(改金)한 후, 전라남도 해남군 소재의 대흥사 남암에 봉안되었다가 비구니 안봉려관 스님에 의해 1925년 대흥사의 말사인 관음사 중창을 위하여 이운(移運) 되었음을 알 수 있다.
  불상의 제작 수법은 17세기 후반기의 양식적 특성을 보여준다. 단아한 형태, 부드러운 양감, 유연한 선묘 등은 당대를 대표하는 불상으로 높이 평가 받고 있다.


[동영상] 0593
관음사를 뒤로 하고...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천왕문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일주문 뒤에 가지런히 놓여진 기왓장
반응형

어승생과 한라산의 눈

제주시 2008. 12. 10. 14:35 Posted by jejulife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