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재지 : 서귀포시 중문동 3712번지 일대
표   고 : 101.2m
비   고 : 61m
둘   레 : 1,786m
면   적 : 159,357㎡
저   경 : 616m

  중문관광단지 천제연 계곡 동쪽 언덕일대로서 천제연을 끼고 있으며, 세 봉우리로 된 삼태성형(參台星形)인데다 옆에 은하수처럼 내가 흐른다하여 성천봉이라고도 부른다.
  베릿내 오름은 삼태성형이라 했듯이 세 봉우리로 이루어져 각각 동오름, 섯오름, 만지섬오름으로 나누어 불리우고 있다.
  내(川)쪽은 베리(벼루)를 이루는 바위 절벽이고, 오름기슭에는 '만지세미'라는 샘이 있다. 동오름은 북쪽기슭 자락이 중문동 중심가 쪽으로 펼쳐지고, 그 사이에 얕게 화구가 벌어져 있다. 주봉이라 할 수 있는 섯오름은 서사면이 그대로 천제연 계곡으로 내려지르고, 남서쪽 기슭에는 관광어촌이 조성되어 있으며, 북서부분의 만지섬 오름은 천제연쪽으로 화구가 벌어져 있다. 섯오름과의 사이에 광명사(光明寺 - 태고종), 천제사(天帝寺 - 조계종)가 이웃해 있으며 천제사 경내에는 바위틈에서 흘러나오는 약수터가 있다.
  오름서쪽 천제연계곡 양안은 울창한 난대림을 이루어 식물학적 측면에서 귀중한 가치를 지니며, 특히 이곳에는 환경부 특정야생동식물(식산-1)로 지정된 솔잎난과 담팔수 등 희귀식물이 자생하고 있어 일대가 천연기념물(182-7호)로 지정보호 되고 있다.
  오름 남쪽 대포해안(지삿개)에는 절승의 웅장한 단애를 이루면서 6각형의 주상절리가 한폭의 그림처럼 잘 발달되어 최근 관광경승지로 그 가치를 더해가고 있으며, 주변은 중문관광단지 2차지구와 제주컨벤션센터가 들어설 예정이다.

* 솔잎난(솔잎난과)
 ㆍ 바닷가 바위틈에서 자라는 상록성 다년초로 뿌리 줄기는 짧고 균군(菌根)이 발달하며, 헛뿌리로 덮이지만 진정한 뿌리는 없으며, 줄기는 연한 녹색으로 밑에서 부터 2개씩 계속 갈라져 전체가 빗자루 같이 된다.
 ㆍ 작은 돌기같은 잎이 드문드문 어긋나며, 포자가 달리는 잎은 윗부분에서 두개로 갈라지고 잎 겨드랑이에 포장낭이 1개씩 달리고, 포장낭은 지름 2mm 정도의 편평한 공모양으로 녹색이지만 익으면 황색으로 되고 3개로 갈라져서 포자가 나온다.
 ㆍ 솔잎난이란 한자이름 松葉蘭(송엽란)을 번역한 것이며 녹색의 잔가지가 솔잎과 비슷하여 생긴 이름이다.

* 천제연 폭폭
  옥황상제를 모시는 7선녀들이 밤이면 내려와 목욕하며 놀았다해서 이름지어진 곳으로 울창한 난대림 사이로 웅장한 3단 폭포가 떨어지는 모습은 실로 장관이다.
  제1폭포는 22m절벽으로 떨어져 수심 21m의 못을 이루고, 이는 다시 제2폭포, 제3폭포가 되어 바다로 흘러간다.

* 주상절리(柱狀節理)
  용암이 물과 접촉에 의한 냉각, 수축 작용으로 생성되는 수직방향의 틈으로 보통 3~6각형(판상절리 : 용암이 수평방향으로 깨진 틈)

※ 오름명의 유래ㆍ어원
 ㆍ '베릿내'의 베리는 벼루의 제주방언으로 '벼루'란 낭떠러지의 아래가 강이나 바다로 통한 위태한 벼랑을 말한다.
 ㆍ 제주시에도 베릿내(別刀川)와 베리오름(別刀峰)이 있는데 이 베릿내는 베리오름 쪽으로 흐른다 하여 베릿내이며, 베리오름은 오름 북쪽이 바다에 접한 벼량을 이루었기 때문에 베리오름이라 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베릿내오름(성천봉)은 내(천) 이름에서 오름이름이 생긴 것으로 보이진다. 성천봉은 베릿내 오름에서 나온 한자 표기라 한다.

제주도(1997.12.20), 제주의 오름, pp. 166~167.
반응형

소재지 : 서귀포시 중문동 산5번지 일대
표   고 : 620.5m
비   고 : 121m
둘   레 : 2,315m
면   적 : 340,236㎡
저   경 : 807m

  서귀포시 1100도로와 서부산업도로를 연결하는 산록도로변 중문동 방목지대에 위치한 화구 없는 피라미드 형태의 원추형 오름이다.
  오름 동남측 기슭에 3개의 작은 구릉이 있는데, 이중 가운데 구릉의 정상부는 망루터로서 현재에도 대형의 붉은색 화산탄으로 만들어진 돌담외곽이 둘러져 있다.
  정상부근에는 울창한 자연림이고 서쪽사면은 활엽수림등 잡목이 우거져 있으며, 남동사면은 해송과 삼나무가 주종을 이루며, 찔레나무, 청미레덩굴이 우거져 있다.

※ 오름명의 유래
  옛날 한라산에 사슴이 많아 서식할 때 겨울이 되면 사슴들이 이곳에 무리로 내려와 살았다고 하여 녹하지(녹하지)라고 하며, '지'(지)는 마루, 높직한 등성이를 뜻하는 글자로 제주도의 지명표기에 자주 나온다.

제주도(1997.12.20), 제주의 오름, p. 165.
반응형
소재지 : 서귀포시 색달동 912-1번지 일대
표   고 : 301.4m
비   고 : 96m
둘   레 : 2,656m
면   적 : 399,924㎡
저   경 : 804m

  서귀포시 색달동 중문관광단지 북서쪽에 위치한 오름으로 서귀포호텔(구 휴양소) 대유수렵장 진입로에서 접근이 용이하다. 이 오름은 동쪽방향으로 넓게 벌어진 말굽형 화구를 이루고 있으나, 원형 화구에서 용암유출로 인해 침식되어 말굽형의 분화구를 이루고 있는 일종의 응회구(tuff cone)의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전사면은 대부분이 초지로 이루어져 있고 남사면 일부에만 해송이 있다. 화구안에는 과수원과 농경지가 조성되어 있고, 서쪽 기슭자락에는 호텔, 승마장, 대유수렵장이 위치해 있다.

※ 오름명의 유래
  소가 엎두린 형국이라 하여 우부악(牛俯岳), 또는 소가 걸어가는 형국이라 하여 우보악(牛步岳)이라고 한다고 전해지고 있다.

제주도(1997.12.20), 제주의 오름, p. 163.
반응형
소재지 : 서귀포시 서홍동 산1번지
표   고 : 757.8m
비   고 : 118m
둘   레 : 2,046m
면   적 : 276,280㎡
저   경 : 757m

  삼매봉 정상 팔각정에서 볼 때 한라산쪽으로는 급경사의 한라산 남사면 산쪽의 연속으로서 밋밋한 산체를 보여준다. 서귀포시 뒷편에서 동쪽의 미악산에 비해서 서쪽으로 뾰족한 봉우리가 시오름이다.
  1100도로에서 현재 개설중인 제2산록도로(회수-영천동)를 따라 약 5Km쯤 가면 한라산 방향에 표고밭 가는 길이 있으며, 산정부에 산림보호표지판이 있어서 쉽게 구별할 수 있다.
  화구가 없고 남ㆍ북으로 다소 긴 등성마루를 이루며, 가운데에 봉우리가 솟아 있는 원추형 화산체로서 전사면으로 자연림의 울창한 숲을 이루고 있다.

※ 오름명의 유래
  시오름은 한자명이 웅악(雄岳)이며 원래 수컷오름 또는 숫오름(수오름)이라 부르던 것이 시오름으로 와전되어 불려지고 있다고 한다.

제주도(1997.12.20), 제주의 오름, p. 18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