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선] 11-11-11 붉은오름 - 가시리

표선면 2012. 1. 18. 14:20 Posted by jejulife

 


 


 


 


 


 


 

반응형

소재지 : 서귀포시 표선면 가시리 산 158번지
표   고 : 569m
비   고 : 129m
둘   레 : 3,046m
면   적 : 585,044㎡
저   경 : 1,090m

  남조로 한국마사회 경주마육성목장에서 남원방향으로 약 1.5Km 지점 도로 우측변에 위치한 오름으로, 도포 건너편의 감은이오름과 마주보고 있으며, 물찻(검은오름)에서 보면 동쪽으로 우뚝한 오름이다.
  행정구역상 제주시 조천읍 교래리와 서귀포시 표선면 가시리의 경계에 걸쳐져 북반부는 조천읍 교래리, 남반부는 표선면 가시에 속한다.
  북사면이 정상부로서 둥긋하고, 남사면쪽으로는 침식되어 흘러내린 형태로서, 그 가운데에 운형 화구를 이루고 있는 오름이다.
  오름 기슭쪽으로는 삼나무와 해송이 주종을 이루면서 숲이 울창하고, 중턱부터는 낙엽수림 등 자연림이 숲을 이루고, 원형 화구바닥은 억새등이 무성하다.

※ 오름명의 유래ㆍ어원
  이 오름의 흙이 붉은색을 띠고 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하며, 한자표기화에 의해 赤岳(적악)이라고 한다.
 
제주도(1997.12.20), 제주의 오름, p. 465.
반응형
소재지 : 서귀포시 표선면 가시리 산 158-2번지
표   고 : 517m
비   고 : 117m
둘   레 : 2,470m
면   적 : 4751,437㎡
저   경 : 782m

  제동목장 관리사무소와 경주마육성목장 사이에 위치한 오름으로, 제동목장안으로 들어가면 쉽게 접근할 수 있다. 행정구역상 조천읍 교래리와 표선면 가시리의 경계가 산체를 동·서로 양분하고 있다.
  이 오름은 꽤높고 가파른 사면을 이루면서 동쪽으로 깊숙이 패이고, 아래쪽으로 좁게 비탈지면서 위쪽으로는 둥글고 넓적하게 우묵진 말굽형 화구를 이루는 것이, 처음에는 원형이던 산정화구가 동쪽으로 침식되어 말굽형 화구를 이룬 것으로 추측된다.
  오름 기슭에는 삼나무가 조림되어 있고, 화구 및 각사면은 해송과 낙엽수림이 우거져 자연림의 숲은 이루고 있다.

※ 오름명의 유래ㆍ어원
 ㆍ산 모양이 개(狗)의 머리와 비슷하여 '구두리'라고 붙였으며 후에 한자표기에 의해 구두악(拘頭岳)이라 불렀다 한다.
ㆍ<제주도 옛땅이름 연구 - 박용후>에 따르면 '구두리'는 제주바다에 서식하는 우렁이의 한가지로서, 대정읍 하모리의 바다 가까운 밭인 '구두리왓'은 태풍이 불 때 바다에서 '구두리'라는 우렁이가 올라온 일이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 풀이하고 있다.
ㆍ<지명을 통해 본 탐라언어의 원류 - 현평효> 에 따르면 拘頭(구두)의 拘(구)자에는 음 '구'를 취하고 頭(두)자에서는 마리두(머리두)의 '마'의 초성(ㅁ)만을 취해서 '굼' 어형을 형성, 각각 拘頭(구두), 拘尾(구미)로 표기해 놓은 것으로 보고 있다.
ㆍ 제주지명에 '곰' 系語(계어)가 많이 분포되어 있는데, '곰'은 고조선시대에 神(신)을 뜻하는 말로서, 구두리오름은 신령스러운 산이란 뜻에서 유래된 산명이라 할 수 있다고 한다.

제주도(1997.12.20), 제주의 오름, pp. 468~469.
반응형

11-11-11 구두리오름 2

표선면 2012. 1. 13. 08:55 Posted by jejulife







어릴적 많이 따먹던 볼레(?) 정식 이름은 모르겠네요^^;;


구두리오름 옆을 지나는 건천



반응형

구두리 오름은 남조로 교래리에서 남원쪽으로 가다가 한국마사회 제주경주마목장을 바로 지나면 제주시 조천읍 교래리와 서귀포시 표선면 가시리 경계선상에 자리하고 있다.

이곳 담 너머로 방목초지를 지나 구두리 오름으로 진입할수 있는 길이 나 있다.











한국마사회 제주경주마목장 코너로 오르는 구두리오름
반응형

'표선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표선] 11-11-11 붉은오름 - 가시리  (0) 2012.01.18
11-11-11 구두리오름 2  (0) 2012.01.13
큰사슴이 대록산과 정석비행관  (2) 2008.11.29
[영주산] 6~8  (0) 2008.06.06
[정석항공관] 대록산, 소록산 1, 2  (2) 2008.04.15

가시식당, 787-1035

전화번호/먹거리 2008. 12. 1. 14:58 Posted by jejulife
사용자 삽입 이미지
순대국밥, 두루치기, 몸국

가시식당, 787-1035
반응형

'전화번호 > 먹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내들내, 064-784-1881  (0) 2008.09.17
소재지 : 서귀포시 표선면 가시리 산 8번지 일대
표   고 : 288.1m
비   고 : 113m
둘   레 : 2,584m
면   적 : 482,903㎡
저   경 : 896m

  표선면 가시리 안좌동 북쪽에 위치한 오름으로, 가시리 사거리에서 제동목장 방향으로 약 1.5Km 지점의 좌측도로변에 번널오름과 이웃해 있는 오름이다.
  산체가 비교적 크고 가파른 사면을 이루고 있으나, 남사면 쪽은 완만하게 남동쪽으로 등성이가 길게 뻗어내려 그 사이가 다소 후미졌으며, 산정부는 우묵하게 화구가 패어 북동사면의 골짜기로 이어진 것이, 원형 화구 였던 것이 한쪽이 파괴되어 말굽형 화구를 이룬 것으로 추측된다.
  화구안에는 억새가 무성한 가운데 묘가 몇자리 자리잡고 있으며, 전사면에 삼나무와 해송이 주종을 이루는 잡목이 가시덤불과 어우러져 숲을 이루고 있다.

※ 오름명의 유래ㆍ어원
  오름의 지형지세가 풍수지리설에 의하면 봉황새가 자기 보금자리로 돌아오는 형국이라 하여 봉귀악(鳳歸岳)이라 부르기도 하고, 기러기가 둥우리에 앉아있는 형국이라 하여 안좌(雁座)오름이라고 불렀는데, 후에 안좌리(雁座里)가 설촌되면서 안좌오름이라 불리어 졌다고 하며, 지역주민들은 병곳오름이라고 예로부터 불러왔다고 한다. '병곳'에 대한 어원은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제주말로 꽃을 곳(곶, 또는 고장)이라고 하는데 이는 우리나라 옛말이 방언으로 남아 있는 일예로서 병곳이란 곧 병꽃풀이 아닌가 하는 추측을 하는 이도 있다.

제주도(1997.12.20), 제주의 오름, p. 475.
반응형

번널오름-번판악(飜板岳)

제주의 오름/표선면 2008. 11. 30. 12:42 Posted by jejulife

소재지 : 서귀포시 표선면 가시리 산 10번지 일대
표   고 : 272.3m
비   고 : 62m
둘   레 : 1,289m
면   적 : 129,713㎡
저   경 : 442m

  표선면 가시리 혜림목장 입구, 도로변에 위치한 오름으로 가시리 사거리에서 제동목장 방향으로 약 2Km 지점의 좌측 도로변에 병곳오름 북쪽으로 이웃해 있는 오름이다.
  넓적하고 둥그스름한 등성마루가 북쪽을 머리로 하여 남서방향으로 뻗어내리다가 다시 올라와 허리가 잘룩한 것이 말안장처럼 생겼으며, 안장모양으로 생긴 서남사면이 다소 얄팍한 형태이다.
  잡목이 부분적으로 자라고 전사면이 풀과 새(띠)밭으로 덮힌 가운데 가시덩쿨이 널리 분포하고 있다.

제주도(1997.12.20), 제주의 오름, p. 474.

반응형

큰사슴이 대록산과 정석비행관

표선면 2008. 11. 29. 21:21 Posted by jejulife
  큰사슴이 대록산과 족은사슴이 소록산은 정석비행관 바로 뒤에 있어 주차장에서 쉽게 오를 수 있는 오름이다.


[동영상] 0156

사용자 삽입 이미지


[동영상] 0158


[동영상] 0159


[동영상] 0160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한라산

사용자 삽입 이미지
소록산(족은사슴이)


[동영상] 0163

사용자 삽입 이미지
따라비오름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대록산 정상에서 보는 남동쪽(표선-성읍 방면)


[동영상] 0168


[동영상] 0169


[동영상] 0171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여문영아리

주석 9) 산마장은 해발 400m 이상의 지역 즉 삼림지와 초지대가 혼재하는 지역에 분포했으며, 김만일(金萬鎰)의 사목장(私牧場)에서 기원하였다. 즉, 산마장은 남원·표선 중산간 일대에서 사목장을 개척했던 김만일(1550-1632)이 임진왜란으로 각소장에서 말이 징발되었으나, 한반도에서 전마가 부족해지자 1600년 (선조 33년)과 1620년에 각각 전마 500필을 국가에 헌납하였다. 이에 조정에서는 헌마한 말을 사육시키기 위해 제주목과 정의현의 경계 일대에 1620년에 동·서별목장(別牧場)을 설치하였다. 이후 1658년에 제주목사 이회(李檜)의 건의로 동·서별목장이 산마장으로 개칭됨으로써 산마장이 제주도의 동부 산간지역에 형성되었다. 18세기 후반인 영정조대(1724-1800)에 침장·상장·녹산장으로 개편되었다. 산간목장의 관리를 위해 산마감목관제(山馬監牧官制)가 신설되었다. 김만일이 마필을 헌마한 공을 인정하여 김만일의 아들인 김대길(金大吉)을 산마감목관으로 임명한 후 산마장을 관리시켰으며, 이후 산마감목관은 6년마다 김씨 가문의 후손들에게 세습되기도 하였다.

강만익(대정여고 교사), 제주도 목장과 화전이야기(2008.11), 제15회 역사교실 제주 역사와 오름, p. 4.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정석비행관, 정석비행장 활주로, 물영아리

(3) 산마장과 갑마장 : 산마장은 숙종 때를 전후하여 침장(針場), 상장(上場), 녹산장(鹿山場)으로 재편되었다. 침장은 조천읍 교래리 바농오름(552.1m) 일대, 상장은 조천읍 교래리 산굼부리(437.4m) 일대, 녹산장은 표선면 가시리 소록산(441.9m)과 남원읍 수망리 물영아리(508m)를 연결하는 초지대에 형성되었다. 산마장의 공간범위 내에는 침장, 상장, 녹산장으로 대표되는 상위 목장과 괴종장, 효생장, 몰마장, 장수물장, 갑마장으로 구성된 하위 목장 등 모두 8개의 목장이 있었다.
 
녹산장 부근에 설치된 갑마장은 <제주도지, 1899>에 의하면, 표선면 가시리 번널오름, 따라비오름, 대록산을 연결하는 공간에 해당된다. 『가시리 향토지』에 의하면, 갑마장은 국가가 길렀던 말 중에서 품질이 우수했던 말인 갑마(甲馬)를 선정하여 방목한 데서 유래했다.

강만익(대정여고 교사), 제주도 목장과 화전이야기(2008.11), 제15회 역사교실 제주 역사와 오름, p. 7.

사용자 삽입 이미지
번널오름, 병곳오름

사용자 삽입 이미지


[동영상] 0177
내려오는 길


[동영상] 0178

사용자 삽입 이미지


[동영상] 0181
반응형

'표선면'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11-11 구두리오름 2  (0) 2012.01.13
11-11-11 구두리오름 - 한국마사회 제주경주마목장  (0) 2012.01.09
[영주산] 6~8  (0) 2008.06.06
[정석항공관] 대록산, 소록산 1, 2  (2) 2008.04.15
[여문영아리 7-7-22] 1~  (0) 2008.02.13

[대록산] 큰사슴이, 大鹿山

제주의 오름/표선면 2008. 11. 28. 12:33 Posted by jejulife
소재지 : 서귀포시 표선면 가시리 산 68번지 일대
표   고 : 475.5m
비   고 : 125m
둘   레 : 2,794m
면   적 : 522,097㎡
저   경 : 961m

  제동목장 비행훈련원 동쪽에 위치하고 있는 오름으로 소록산과 자락을 맞대어 있고, 지형지세가 마치 사슴과 비슷하다고 하여 큰오름은 큰사슴이(대록산), 작은 오름은 족은사슴이(소록산)라 브르고 있다.
  대천동 사거리에서 교래리 방향 1Km 지점의 제2교래교 옆으로 가시리 가는 길을 따라 약3Km 정도 가다보면, 도로변 좌측에 접해있는 소록산 너머로 대록산이 보인다.
  형태는 전반적으로 가파르고 둥근 산체에 다소 동서로 퍼져 있고, 화구는 정상쪽에서는 숲으로 덮혀 있어 북으로 터진 말굽형 화구로 보이나, 정상부의 동서 봉우리 사이에 둥그렇게 패어있는 원형 화구(깊이 55m)를 갖고 있는 화산체이다.
  화구 안사면으로는 해송, 삼나무 등 잡목으로 숲을 이루면서 정상부로 양지바른 곳에는 진달래가 식생하고, 그 반대사면은 풀밭을 이루면서 기슭자락에는 찔레나무가 산재해 있고 부분적으로 습원을 이루고 있다.

제주도(1997.12.20), 제주의 오름, p. 47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