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병악] 족은오름, 小竝岳

제주의 오름/안덕면 2008. 4. 21. 14:54 Posted by jejulife

 

2008-4-20 35

소재지 : 서귀포시 안덕면 상창리 산2-1번지 일대
표   고 : 473m
비   고 : 93m
둘   레 : 1,848m
면   적 : 178,836㎡
저   경 : 603m

  말굽형 화구로 이루어진 쌍둥이 오름인 병악(골른오름-아래아, 竝岳)의 두봉우리 중에서 오른쪽의 표고가 낮은 오름을 족은오름이라 부르며, 이와같이 이웃한 오름 중 족은 의미를 갖는 오름은 국립공원내 웃세족은 오름등 13개 오름이 있다. 이 오름은 서향으로 느슨한 말굽형 화구를 갖는 기생화산체이다.
  화구 앞쪽의 기슭자락으로 암설류의 작은 언덕들이 산재해 있으며, 남사면쪽 일부에 삼나무 조림지가 있을 뿐 그외 지역은 자연림의 울창한 숲을 이루고 있다.

제주도(1997.12.20), 제주의 오름, p. 433.

반응형

 

2008-4-20 6

소재지 : 서귀포시 안덕면 상창리 산2-1번지 일대
표   고 : 491.9m
비   고 : 132m
둘   레 : 2,313m
면   적 : 301,657㎡
저   경 : 731m

  안덕면 상천리 마을 서쪽으로 무악과 마주보며 우뚝솟은 오름으로, 서부산업도로(평화로) 동광육거리(동광검문소가 있는 곳)에서 양잠단지를 지나 상천리 방향으로 약 1Km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산록도로에서 진입이 가능한데, 산록도로 광평입구에서 남쪽방향의 상천마을 가는 길로 들어서면 두개의 봉우리를 식별할 수 있다.
  두 오름이 나란히 자락을 맞대고 서 있어, 한자로는 두오름을 합쳐 병악(竝岳)이라고 부른다. 큰쪽이 표고가 491.9m, 작은쪽 표고가 473m로, 큰쪽은 따로 여진머리 오름 또는 큰오름이라 불리고, 작은쪽은 족은오름이라는 이름이 따로 있다.
  여진머리오름, 큰오름의 화구는 북향으로 다소 깊숙히 패어있는 말굽형 화구를 이루고 있고, 서쪽사면 일부에 삼나무가 조림되어 있으며, 그외 지역은 자연림의 울창한 숲을 이루고 있다.

※오름명의 유래
   골래기(골애기-아래아)란 제주방언으로 쌍둥이를 말하는데, 이 오름과 자락을 맞대고 선 두 오름의 생김새가 아주 닮아서 골른오름(아래아)이라 부르고 있고, 한자로는 큰오름은 대병악(大竝岳), 족은오름을 소병악(小竝岳)이라 표기하고 있다. 또한 꼭대기 언저리에 뭉툭하게 튀어나온 것이 여자의 얹은 머리 모양으로 보인다고 여진머리오름이라는 별칭이 있다.

※ 오름에 얽힌 전설
  옛날 강별장(姜別將)이라는 욕심이 많고 고약한 사람이 있었는데, 세도를 부려 백성을 괴롭히는가 하면 부귀를 누리면서도 인색하기 짝이 없었다. 하루는 시주승에게 두엄 한삽을 퍼다 주면서 이걸 가지고 가 농사를 지어서 곡식을 거두라며 내쫓아 버렸다. 얼마 뒤 동네에 이상한 소문이 나돌기 시작하였는데, 아래 강별장 선묘가 있는 골른오름(아래아)의 큰봉우리를 깎아 낮추어 족은봉우리와 나란히 만들면 강별장 집안이 크게 발복한다는 것이였다. 마침내 강별장은 온동네 일꾼들을 동원하여 산을 깎아 나가자 붉은 피가 흘러 나오고, 연일 큰비가 쏟아졌다. 강별장은 질겁을 했고 국법으로 용납된 일이 아니라 결국, 역적으로 몰려 집안이 망하고 말았다고 한다.

제주도(1997.12.20), 제주의 오름, pp. 431~432.

반응형

 

2008-4-20 [무악] 대병악에서 보이는 무악 17

 

소재지 : 서귀포시 안덕면 동광리 산12번지 일대
표   고 : 496.1m
비   고 : 126m
둘   레 : 2,504m
면   적 : 314,656㎡
저   경 : 734m

  안덕면 동광 양잠단지 동쪽에 위치한 오름으로, 동광육거리에서 양잠단지를 통하여 광평리로 연결된 도로변에서 쉽게 찾을 수 있으며, 산록도로 광평입구에서도 진입이 가능하다. 오름 앞(남쪽)으로는 병악(竝岳)이 이웃해 있다.
  정상인 남쪽 봉우리를 중심으로 산등성이가 서쪽으로 돌아 남쪽사면의 화구 골짜기로 이어져 있고, 화구는 남쪽으로 넓고 깊게 패인 말굽형 화구를 이루고 있다.
  쌍둥이 오름이라 부르는 병악(큰오름, 족은 오름)과 함께 세개의 오름은 말굽형 화구를 이루고 있으며, 이오름은 남향, 큰오름은 북향, 족은오름은 큰오름 방향인 서향으로서 각각 제방향이면서도 서로 마주보고 있다. 오름은 대부분이 삼나무 조림지로 덮여 숲을 이루고 있다.

※ 오름명의 유래
  믜오름은 나무없이 믜어(무이어) 있다 하여 믜오름이고, 개오름은 개가 누워있는 형체라 하여 개오름이라 부르고 있다고 한다.

제주도(1997.12.20), 제주의 오름, p. 418.

반응형
소재지 : 제주시 애월읍 봉성리
표   고 : 643m
비   고 : 118m
둘   레 : 2,177m
면   적 : 338,981㎡
저   경 : 735m

  서부산업도로(평화로)변 효명목장 입구에서 북동방향 약 1Km지점에 위치하여 산정부에 큰 바위가 박혀있는 오름으로 서부산업도로상에서 쉽게 구별할 수 있다. 북서쪽으로 벌어진 말굽형 화구를 이루고 있으며, 산정부 언저리의 암벽이 마치 커다란 북이 걸려 있는(돌아진) 모양 같다고 해서 괴오름과 분리하여 북돌아진 오름이라 불리고 있다.
  주요식생은 해송, 상수리나무, 가시덤불, 잡목 등으로 자연림의 울창한 숲을 이루고 있고, 바위벼랑은 수직의 암벽이며, 주변은 조릿대, 가시덤불이 무성한 급사면을 이루고 있다.

제주도(1997.12.20), 제주의 오름, p. 243.
반응형
소재지 : 서귀포시 서홍동 산1번지
표   고 : 757.8m
비   고 : 118m
둘   레 : 2,046m
면   적 : 276,280㎡
저   경 : 757m

  삼매봉 정상 팔각정에서 볼 때 한라산쪽으로는 급경사의 한라산 남사면 산쪽의 연속으로서 밋밋한 산체를 보여준다. 서귀포시 뒷편에서 동쪽의 미악산에 비해서 서쪽으로 뾰족한 봉우리가 시오름이다.
  1100도로에서 현재 개설중인 제2산록도로(회수-영천동)를 따라 약 5Km쯤 가면 한라산 방향에 표고밭 가는 길이 있으며, 산정부에 산림보호표지판이 있어서 쉽게 구별할 수 있다.
  화구가 없고 남ㆍ북으로 다소 긴 등성마루를 이루며, 가운데에 봉우리가 솟아 있는 원추형 화산체로서 전사면으로 자연림의 울창한 숲을 이루고 있다.

※ 오름명의 유래
  시오름은 한자명이 웅악(雄岳)이며 원래 수컷오름 또는 숫오름(수오름)이라 부르던 것이 시오름으로 와전되어 불려지고 있다고 한다.

제주도(1997.12.20), 제주의 오름, p. 186.
반응형
소재지 : 서귀포시 안덕면 창천리 564번지 일대
표   고 : 334.5m
비   고 : 280m
둘   레 : 8,111m
면   적 : 2,836,857㎡
저   경 : 2,795m

  안덕면 창천리 앞 창고천 건너에 동서로 길게 가로누운 형태이며, 남사면의 난드르(대평리)를 병풍처럼 에워싸고 있는 오름이다. 대평리(서난드르)에서 감산리 안덕계곡을 잇는 도로가 군산 서쪽사면의 급경사를 가로지르며 구불구불 이어져 있으며, 이 도로로 부터 군산 남사면의 퇴적층계곡으로 들어가는 길이 나있다.
  오름 정상을 중심으로 동반부는 서귀포시, 서반부는 남제주군에 속하여 시군경계를 이루고 있으며, 남서쪽의 월라봉(도래오름, 月羅峰)과 이웃해 있다.
  정상부의 용의 머리에 쌍봉이 솟았다고 하는 두 개의 뿔바위, 동남사면의 애기업게 돌 등의 퇴적층의 차별침식에 의한 기암괴석, 남사면 계곡에 발달된 웅장한 퇴적층의 수평층리 등 군산은 감춰져 있는 제주도 최대의 화산쇄설성 퇴적층으로 이루어진 기생화산체이다.
  유사시대의 분출기록인 1007년(목종10년)의 기록에 새로이 만들어졌다는 서산(瑞山)이 지금의 군산인 것으로 여러학자들에 의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런규모의 퇴적층이 화산분출에 의해서 일시에 만들어졌다는 것은 지질학적인 상식으로는 받아들일 수 없으며, 혹시 화산체 상에서 지진을 동반한 후화산 활동은 어느곳에서나 가능한 것이므로 이러한 가능성을 전혀 배제할 수는 없을 것이다. 다만 제주화산도상에 분포하는 기생화산체의 신구 구분과 원형보존 여부의 고찰에 의해서 본 오름보다는 송악산지역이나 비양도지역에서가 후화산의 여운과 그에 동반된 지진활동 가능성이 더 농후한 것으로 판단된다.

※  군메(굴뫼)의 어원 분석
 ㆍ'군뫼>군메'의 '군'은 군식구, 군서방, 군말 따위의 '가외의' 또는 '쓸데없는'의 뜻을 가진 관형사 '군~'이 '뫼>메'(산)에 매겨져 있어, 나중에야 갑자기 솟아난 산, 즉 덧생긴 산, 가외로 생겨난 산이라는 뜻이로, '군~'은 '굴룬~'으로도 쓰이고 '가외로'의 뜻일때는 '굴루로'라고 쓰이므로 군산, 굴룬산 또는 굴루로 생겨난 산, 즉 군메이고, 굴메는 '굴룬뫼>굴룬메'의 변화로 볼 수 있다고 한다.
 ㆍ '군메'의 '메'는 '모리>모이>뫼>메'의 과정을 거치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제주 방언의 특징인 전설모음화 경향에 의하여 된것이라 한다.

* 오름에 얽힌 전설
  옛날에는 지금과 같은 마을(안덕면 창천리)이 이뤄지지 않고 있었다. 겨우 10여호가 사고 있을 정도였다. 그 중에 강(姜)씨 선생이 있었다. 그는 글을 많이 읽어 주변에서는 학식있는 사람으로 소문이 나 있었다. 더구나 인품이 훌륭하여 강선생에게는 많은 사람들이 글을 읽으러 모여 들었다.
  하루는 제자들을 둘러 앉히고 글을 읽는데, 문밖에서도 글읽는 소리가 들려왔다. 선생은 이상히 생각하여 가만히 귀를 기울여 보았다. 방안에서, '하늘천'하면, 바로 이어 문밖에서 따라 '하늘천' 하는 것이 아닌가. 이상하다고 여기고는 밖을 살펴보았지마는 아무도 없었다. 그러나 별로 흉측스러운 일이 아니라 그냥 지내게 되었다. 그렇게 삼년쯤 계속되던 어느날 이었다.
  하루는 선생이 글 읽는 사람들을 돌려 보내고는 잠자리에 들었을 때였다. 아마 거의 자정이 넘은 시간이었다.
  "선생님 주무십니까?"
  선생은 꿈속인 듯 생시인 듯 어렴풋이 그 소리를 들었다.
  "누구시오"
  "예, 저는 저 멀리서 온 동해 용왕의 아들인데, 그 동안 선생님의 허락도 받지않고 선생님 밑에서 3년간 글을 읽었습니다. 이제 기한이 다 차서 선생님을 하직하여야 할 처지가 되어 이렇게 작별의 인사를 드리러 왔습니다"
  "그 동안 베풀어 주신 은혜는 잊지 않겠습니다."
  아주 공손하게 인사를 올리는 것이었다. 강선생은 모든게 모르는 일이었으나, 문득 그 동안 댓돌 아래에서 들리던 그 글읽던 소리를 생각해내고는 그가 바로 이 용왕의 아들이라고 생각하였다.
  "이제 돌아가야 할 처지가 되어 그 동안 선생님께 입은 은혜를 조금이라도 갚고 싶사오니, 뭐라도 어려운 일이 있으면 아뢰어 주십시오. 제가 어떻게 해 보겠습니다."
  용왕 아들이라는 자의 청이 간절했지마는 사실 욕심과 세상 부귀영화에 관심이 없던 그에게는 뭐라고 부탁을 드릴 만한게 없었다.
  "나야 뭐 젊은이들에게 글을 가르치는게 유일한 즐거움이고, 내 생활은 모두 그네들이 도와주니 내겐 불편하다거나 필요한게 없어요. 헌데 저 냇물이 요란하여 글 읽는데 조금 시끄러운것 밖에는..."
  그는 혼자 중얼거렸다. 사실 그 동네 앞을 흐르는 그 창고내가 비라도 크게 내리는 날이면 냇물 소리가 크게 들려 아이들과 글 읽는데 어려움이 많았다. 그러나 그 일이 결코 선생에게 꼭 소원되는 일은 아니었다. 그런데 용왕의 아들은 그것을 마음에 두었다.
  "선생님 그 일 정도는 어떻게 해결되도록 하지요."
  이렇게 대답을 하고는 "제가 돌아간 후에 며칠이 있으면 큰비와 바람이 며칠간 내리칠 것이오니 아무 걱정 마시고 그저 방문만 꼭 걸어 잠그고 지내십시오. 무슨 일이 있어도 문을 열어서는 안됩니다.그러다가 이레되는 날에는 문을 여십시요."
  이렇게 신신당부하고 그는 떠났다. 아니나 다를까 그가 떠나고 얼마 없어서 뇌성벽력이 치고 폭우가 내리치기 시작하였다. 선생은 마음을 단단히 먹고 방문을 걸어 잠그고는 두문불출 며칠을 지내었다.
  그렇게 지내기 칠일이 되는 날이었다. 밖에 비바라도 좀 잔잔해지는 것 같았다. 선생은 이제는 별일이 없으려니 하고 문틈으로 밖을 살며시 내다봤다. 그 순간이었다. 이상한 빛이 번쩍하니 방안으로 드리치더니 그만 선생이 아찔하고 쓰러져 버렸다.
  뒷날 깨어보니 선생은 아무래도 왼쪽 눈이 이상하게 보이질 않았다. 그리고 밖으로 나와 보니 이상한 일이 벌어져 있었다. 전에는 없던 산이 떡 버티어 서 있었다. 그리고 세상은 언제 풍우가 몰아쳤느냐는 듯이 맑게 개어 있었다.
  이 때 고려 조정에서는 제주도에 천재지변이 일어났다고 하여 관원이 그 진상을 살피러 내려왔다. 관원은 이 새로 생긴 산을 보고는 그 연유를 알지 못하였다. 어떤 사람들은 이 산이 중국 곤륜산이 이곳으로 옮아왔다고 하기도 하고, 어떤 이는 중국에 있는 서산이 옮겨온 것이라 하였다.
  그래서 처음에는 서산이라 부르다가, 그 모양이 군막과 같다고 하여 군산이라 부르게 되었다. 또한 그 산은 어느날 갑자기 생겨났다고 하여 (굴르로 생겨 났다고 하여) 군뫼(군메) 또는 군뫼오름이라고 불려지기도 했다. 또한 이 군산 봉우리에는 옛부터 금장지(禁葬地)로 전해왔다. 바로 쌍선망월형(雙仙望月型)이라 해서 너무나 명당이기 때문이다.
  이곳에 묘를 쓰면 큰 가뭄이 계속되거나 큰 장마가 계속되어 흉년이 되는 일이 많았기 때문이다. 어느 때도 갑자기 가물기 시작하여 농사가 결단날 지경에 이른 적이 있었다. 마을 사람들은 필시 이는 누가 금장터에 묘를 썼다고 그곳으로 몰려 갔다. 그래서 그 산꼭대기를 아무리 파헤쳐 봐도 아무것도 없었다. 마을 사람들은 계속 그 주위를 파헤쳐 버리자 갑자기 하늘에 비구름이 몰려 오더니 비가 내리기 시작하였다. 그래서 가뭄을 면할 수 있었다.

제주도(1997.12.20), 제주의 오름, pp. 435~437.
반응형

[새별오름] 애월읍 봉성리

제주의 오름/애월읍 2008. 3. 6. 18:32 Posted by jejulife
소재지 : 제주시 애월읍 봉성리 산59-8번지
표   고 : 519.3m
비   고 : 119m
둘   레 : 2,713m
면   적 : 522,216㎡
저   경 : 954m

  서부산업도로(평화로)변 시온목장입구 서쪽 도로연변에 위치한 풀밭오름으로, 남쪽 봉우리를 정점으로 작은봉우리들이 북에서 서로 타원을 그리며 솟아 있고 서사면으로 넓게 휘돌아 벌어진 말굽형 화구를 이루고 있으며, 복사면 기슭에도 작게 패어 있는 소형의 말굽형 화구를 갖고 있어 이 오름은 복합형 화산체로 볼 수 있다.
  오름 정상 북쪽사면에는 일부 잡목숲이 있으나, 그외 지역은 풀밭을 이루면서 서북쪽 사면에는 공동묘지가 조성되어 있다.
  서부산업도로 화전동 입구 반대편 군도를 따라가다 두갈레 길중 우측 봉성리 방향의 길로 조금 더가면 이달봉 남쪽자락으로 시멘트 포장길이 나 있어 쉽게 접근이 가능하다.

※ 오름명의 유래
  저녁하늘에 샛별과 같이 외롭게 서 있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한자이름은 한자의 뜻을 빌어 표기한 것이라 한다.

제주도(1997.12.20), 제주의 오름, p. 244.
반응형
소재지 : 제주시 애월읍 봉성리 산71-1번지
[이달봉]
표   고 : 488.7m
비   고 : 119m
둘   레 : 2,015m
면   적 : 250,204㎡
저   경 : 678m

[이달이촛대봉]
표   고 : 456m
비   고 : 86m
둘   레 : 1,198m
면   적 : 104,258㎡
저   경 : 448m

  서부산업도로(평화로) 시온목장입구 서쪽연변에 새별오름이 있고, 새별오름 서쪽에 이웃해 2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다. 이달봉은 북쪽에 이웃한 이달이촛대봉과 함께 원추형의 쌍둥이화산체(twin volcano)라고 할 수 있다.
  이달이 촛대봉의 정상부에는 용암유출 흔적인 화산암이 노출되어 있고 식생은 전체적으로 풀밭오름을 이루고 있으나, 촛대봉 남쪽 벼랑 밑으로는 찔레나무, 꽝꽝나무, 사스레피나무들이 우거져 있다.
  이달봉은 서부산업도로 화전동 입구 반대편 군도를 따라가다 두갈레 길중 우측 봉우리 방향의 길로 조금가면 군도가 오름자락을 지나고 있어 쉽게 찾을 수 있다.

※ 오름명의 유래·어원
  · 달은 '높다' 또는 '산'의 뜻을 지닌 고구려 또는 고조선 시대의 말로
  · 이달오름은 이달 > 이달이 > 이달오름의 변화로 결국 2개의 산 이라는 뜻으로 풀이 하고 있다.

제주도(1997.12.20), 제주의 오름, p. 245.
반응형

[왕이메] 안덕면 광평리

제주의 오름/안덕면 2008. 3. 5. 18:54 Posted by jejulife
소재지 : 서귀포시 안덕면 광평리 산 79번지 일대
표   고 : 612.4m
비   고 : 92m
둘   레 : 3,665m
면   적 : 709,179㎡
저   경 : 1,174m

  애월읍 봉성리 화전동 입구에 위치한 오름으로, 서부산업도로(평화로)에서 화전동 마을 앞 효명목장안으로 들어가 왕이메 남쪽기슭을 따라 개설된 도로로 북쪽기슭까지 가면 정상으로 오르는 작은 길이 나있다.
  옛날 탐라국의 삼신왕이 이곳에 와서 사흘동안 기도를 드렸다고 하여 오름이름을 왕이메라고 한다.
  전체적으로 볼 때 여러개의 크고 작은 봉우리가 어깨를 맞대어 하나의 커다란 산체를 이루고 있으며, 오름 정상에는 산굼부리와 흡사한 깔데기형의 커다란 원형 분화구와 화구 주위에 자그마한 굼부리들로 이루어진 복합형 화산체이다. 제주시 조천읍의 산굼부리가 한라산 동부산록의 대표적인 분화구라고 한다면 왕이메 분화구는 한라산 서부산록을 대표할 수 있는 분화구라고 할 수 있을 만큼 그 규모가 크고 웅장하다.
  오름 전사면은 해송과 삼나무 등으로 울창한 숲을 이루고 있는데, 원형 분화구(깔때기형, 깊이 101.4m) 북쪽 안부에는 자연림이 울창한 숲을 이루고 있고, 남쪽 안사면의 밑으로(화구바닥)부터 삼나무가 조림되어 있다. 그외 사면은 조림된지 몇년 안되 보이는 해송 등이 청미레덩굴과 어우러져 있다.
  오름 서쪽으로는 괴수치오름, 돔박이오름이 왕이메에 딸려있는 모양으로 나란히 줄지어 오름기슭자락으로 이어져 있다.

제주도(1997.12.20), 제주의 오름, p. 422.
반응형

[민오름] 구좌읍 송당리

제주의 오름/구좌읍 2008. 1. 31. 13:45 Posted by jejulife
소재지 : 제주시 구좌읍 송당리 산 156번지
표   고 : 362m
비   고 : 102m
둘   레 : 2,395m
면   적 : 412,245㎡
저   경 : 748m

  구좌읍 송당리 대천동사거리에서 비자림로(1112번도로) 방향으로 약 2.5Km지점인 송당목장 입구에서 약 700m지점의 목장안까지 들어가면 쉽게 오를 수 있는 오름으로 칡오름과 이웃해 있다. 서쪽기슭에는 이승만 초대대통령의 별장이 자리하고 있고, 남서사면은 비교적 가파른 편이나, 북동사면은 다소 완만하고 얕게 패어 있는 말굽형 화구를 이루면서 두봉우리가 서남~동북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고 있다.
  이 오름 주변에는 북쪽으로 칡오름, 동남쪽으로 큰돌이미, 서북쪽으로는 아부오름 이 사다리꼴의 정점을 이루면서 마주보고 있는데, 그사이에 민오름의 골짜기 앞으로 암설류(debris flow)로 보이는 작은 구릉 3개가 이어져 있다.
  화구방향의 동북사면에는 낙엽수, 상록교목들이 주종을 이루면서 자연림의 울창한 숲을 이루고, 나무그늘 밑으로 복수초가 소군락을 이루며 자생하고 있다.

제주도(1997.12.20), 제주의 오름, p. 27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