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재지 : 서귀포시 서홍동 산1번지
표 고 : 757.8m
비 고 : 118m
둘 레 : 2,046m
면 적 : 276,280㎡
저 경 : 757m
삼매봉 정상 팔각정에서 볼 때 한라산쪽으로는 급경사의 한라산 남사면 산쪽의 연속으로서 밋밋한 산체를 보여준다. 서귀포시 뒷편에서 동쪽의 미악산에 비해서 서쪽으로 뾰족한 봉우리가 시오름이다.
1100도로에서 현재 개설중인 제2산록도로(회수-영천동)를 따라 약 5Km쯤 가면 한라산 방향에 표고밭 가는 길이 있으며, 산정부에 산림보호표지판이 있어서 쉽게 구별할 수 있다.
화구가 없고 남ㆍ북으로 다소 긴 등성마루를 이루며, 가운데에 봉우리가 솟아 있는 원추형 화산체로서 전사면으로 자연림의 울창한 숲을 이루고 있다.
※ 오름명의 유래
시오름은 한자명이 웅악(雄岳)이며 원래 수컷오름 또는 숫오름(수오름)이라 부르던 것이 시오름으로 와전되어 불려지고 있다고 한다.
제주도(1997.12.20), 제주의 오름, p. 186.
표 고 : 757.8m
비 고 : 118m
둘 레 : 2,046m
면 적 : 276,280㎡
저 경 : 757m
삼매봉 정상 팔각정에서 볼 때 한라산쪽으로는 급경사의 한라산 남사면 산쪽의 연속으로서 밋밋한 산체를 보여준다. 서귀포시 뒷편에서 동쪽의 미악산에 비해서 서쪽으로 뾰족한 봉우리가 시오름이다.
1100도로에서 현재 개설중인 제2산록도로(회수-영천동)를 따라 약 5Km쯤 가면 한라산 방향에 표고밭 가는 길이 있으며, 산정부에 산림보호표지판이 있어서 쉽게 구별할 수 있다.
화구가 없고 남ㆍ북으로 다소 긴 등성마루를 이루며, 가운데에 봉우리가 솟아 있는 원추형 화산체로서 전사면으로 자연림의 울창한 숲을 이루고 있다.
※ 오름명의 유래
시오름은 한자명이 웅악(雄岳)이며 원래 수컷오름 또는 숫오름(수오름)이라 부르던 것이 시오름으로 와전되어 불려지고 있다고 한다.
제주도(1997.12.20), 제주의 오름, p. 186.
반응형
'제주의 오름 > 서귀포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릿네 오름, 성천봉(星川峰) (0) | 2011.11.14 |
---|---|
녹하지악(녹하지악) - 녹하지오름 (0) | 2011.11.10 |
우보악 - 우보오름, 우보름, 牛步岳, 牛俯岳 (0) | 2008.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