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재지 : 제주시 구좌읍 종달리 산28번지
표   고 : 247.8m
비   고 : 88m
둘   레 : 2,685m
면   적 : 404,264㎡
저   경 : 773m

  송당에서 성산읍 수산으로 가는 16번도로로 약 3Km 지점의 두갈래 길에 손자봉과 이웃해 있는 오름이다.
  산정부는 북동쪽의 정상봉을 중심으로 세봉우리를 이루고, 그안에 동서쪽으로 다소 트여있는 타원형의 분화구가 있으며, 전체적으로 산체는 동사면쪽으로 얕게 벌어진 말굽형 화구를 이루고 있다.
  서서면 기슭에는 정상부가 주발모양으로 오목하게 패어있는 아담한 기생화산과 원추형 기생화산인 알오름 2개가 딸려 있어, 용눈이오름은 여러종류의 화구로 이루어진 복합형 화산체라고 할 수 있다.
  오름 기슭자락에는 따라비나 둔지봉, 서검은오름의 주변과 같이 용암암설류(volcanic debric flow)의 언덕이 산재해 있는데, 이는 용눈이 화산체가 형성된 뒤 용암류(熔岩流)의 유출에 의해 산정의 화구륜(火口輪) 일부가 파괴되면서 용암류와 함께 흘러내린 토사가 이동, 퇴적된 것으로 알오름이나 언덕같은 형태를 이룬것으로 추정된다.
  이로 미루어 이 오름의 용암은 비교적 가까운 시기에 분출된 용암으로 판단되고 있으며 '기생화산'이라는 용어는 원론적으로 한라산 순상 화산체의 화산산록상에서 화산분화활동에 의해 만들어진 소화산체이므로, 용눈이오름과 주변의 오름과 같이 한라산 중산간을 돌아가며 화산용암류의 산록상에서 분화구를 갖는 작은 화산을 의미한다.
  오름의 전사면은 잔디와 함께 풀밭을 이루는 아름답고 전형적인 제주오름의 모습이며, 지피식물로서 미나리아재비, 할미꽃 등이 식생하고 있다.

※ 오름명의 유래
ㆍ마치 용이 누워있는 형체라는 데서 연유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한자로는 용와악(龍臥岳)으로 표기돼 있다.
ㆍ산 복판이 크게 패어있는 것이 용이 누웠던 자리 같다고 해서 용눈이오름이라 부른다는 설도 있다.

제주도(1997.12.20), 제주의 오름, pp. 286~287.
반응형

 밑에서 올라오는 팀은 시민단체 그룹

 

 

오름 오르는 시민단체 팀과 지나는 모습

 

오름 오르는 시민단체팀을 뒤로 하고...

 

41번 사진에서 시민단체가 서 있던 알오름에서 바라보는 거미오름

 

41번 사진에서 시민단체가 서 있던 알오름에서 보는 주위모습

 

 

 

반응형

 

다랑쉬 오름

 

 

 

 

한라산과 오름 그리고 거미오름 옆 알오름을 오르고 있는 시민단체 오름팀이 자그맣게 보입니다^^
시민단체 팀은 이 오름을 향하여 오고 저희팀도도 여기서 내려가 저 오름을 오르게 되지요~

 

 

 

 

반응형

 

 

 

 

 

 

 

반응형

 

거미오름의 알오름들과 백약이오름 그리고 한라산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소재지 : 제주시 구좌읍 종달리 산70번지
표   고 : 340m
비   고 : 115m
둘   레 : 3,631m
면   적 : 466,283㎡
저   경 : 992m

  높은오름 남동쪽에 문석이오름과 이웃하며, 주변의 높은오름, 백약이오름, 좌보미오름, 손자봉의 중간 지점에 위치해 있다.
  구좌읍 송당리 삼거리에서 성산읍 수산방향의 중산간도로(국도 16호선) 변의 구좌읍 공설묘지 안길로 진입하면 오름자락까지 길이 나있어 쉽게 오를 수 있다.
  이 오름은 다른 오름과는 아주 다른 복잡한 형태를 갖고 있다. 즉 피라미드형 봉우리가 있는가 하면 돔형 봉우리가 있고, 깔떼기모양의 원형 분화구가 둘 있는가 하면 삼태기모양의 말굽형화구도 갖고 있는 보기드문 복합형 화산체로서, 전체적인 모양은 남서향으로 벌어진 말굽형 화구를 이루고 있다.
  오름 남서쪽에서 북동쪽기슭에 이르는 동반부의 저지대 일대는 곶자왈지역으로 구릉의 연속인데다 심한 굴곡을 이루며, 화구없는 화산체인 용암암설류(volcanic debric flow)의 언덕들이 산재해 있다.
  북서사면 일부에 낙엽수와 말굽형 화구안의 잡목들 외에는 풀밭오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우똑 솟아있는 봉우리들과 매끈한 모양으로 신비스럽기까지 하다.

※ 오름명의 유래
오름사면이 둥그렇고 층층으로 언덕진데다 산상에서 사방으로 등성이가 뻗어나간 모습이 마치 거미집과 비슷하다 하여 옛날부터 거미오름이라 불려 왔다고 하며, 일명 동검은오름 또는 동검은이라고도 한다. 이는 조천읍 선흘리에 있는 검은오름(서검은오름)과 구분하여 부른는 이름으로 한자로는 (동거문악), (동거문이악)으로 표기하고 있다.

제주도(1997.12.20), 제주의 오름, pp.289~290.
반응형
동거미오름, 동검은이오름, 동거문오름, 동거믄이오름

성산일출봉

작은봉우리에서 본 큰 봉우리

작은봉우리와 큰 봉우리 사이





한라산







파헤쳐지는 곶자왈
오른쪽으로 보이는 오름이 다랑쉬오름 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