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이 누워 있는 용눈이오름 3

구좌읍 2009. 4. 2. 15:53 Posted by jejulife
사용자 삽입 이미지
분화구 너머 손자봉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북동쪽 정상봉에서 본 분화구

사용자 삽입 이미지


[동영상] SS852081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왼편 다랑쉬오름(월랑봉)과 오른쪽 자그마한 아끈다랑쉬오름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반은 초지 반은 소나무밭인 은월봉, 뒤로 올레 1코스(시흥·광치기 올레) 두산봉 왼편 뒤로 지미봉, 바다너머 우도가 보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은월봉 너머로 우도 쇠머리오름과 성산일출봉이 보인다.


[동영상] SS852086


[동영상] SS852087


[동영상] SS852088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다랑쉬오름(월랑봉)
 

[동영상] SS852090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반응형

용이 누워 있는 용눈이오름 2

구좌읍 2009. 4. 2. 10:20 Posted by jejulife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동영상] SS852054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오름 뒤로 보이는 다랑쉬오름(월랑봉)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동영상] SS852059

사용자 삽입 이미지
손자봉

[동영상] SS852061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성산일출봉과 성산 앞바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동영상] SS852064

[동영상] SS852065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다랑쉬오름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동영상] SS852071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반응형

용이 누워 있는 용눈이오름

구좌읍 2009. 4. 1. 20:35 Posted by jejulife
사용자 삽입 이미지
  손저봉(손자봉)과 이웃해 있는 오름으로 도로변에 차를 세우고 바로 올라갈 수 있어 정상까지 이르는 시간이 10~15분이면 넉넉하고, 정상의 분화구를 도는 시간도 10분 정도면 돌 수 있다. 높지는 않으나 산체는 넓어서 듬직한 감이 있는 오름이다. 산정부는 북동쪽의 정상을 중심으로 세 봉우리를 이루고, 그 안에 동서쪽으로 다소 트여있는 타원형의 분화구가 있으며, 전체적으로 산체는 얕은 분화구가 세 군데로 무너진 형태로 보인다. 서사면 기슭에는 정상부가 주발모양으로 오목하게 패어 있는 아담한 기생화산과 원추형 기생화산인 알오름 2개가 딸려 있다. 표고는 약 80m, 오름 기슭자락에는 따라비나 둔지봉, 서검은오름의 주변과 같이 암설 사태층의 언덕이 산재해 있는데, 이는 용눈이 화산체가 형성된 뒤 용암류의 유출, 혹은 지진에 의해 산정의 화구를 일부가 파괴되면서 용암류와 함께 흘러내린 스코리아가 이동, 퇴적된 것으로 알오름이나 언덕 같은 형태를 이룬 것으로 추정된다.

  오름의 전 사면은 목초인 겨이삭과 개민들레, 잔디, 제비꽃, 할미꽃 등 키가 크지 않은 초본류들이 서식하고 있어서 초원처럼 보이며, 와 함께 풀밭을 이루는 아름답고 전형적인 제주오름의 모습이며, 지피식물로서 미나리아재비, 할미꽃 등이 자생하고 있다.
  최근까지 방목이 이루어져고 있으나 화입을 하지 않게 되면서 차차 오름의 동사면과 아랫부분부터 찔레며 국수나무 등 초원을 잠식하는 관목류들이 들어서고 있으며, 북사면 근처에는 억새와 띠 등도 분포하고 있다.
  예전에는 꽃향유가 오름 사면을 다 덮어 보라색으로 물드는 장관이 연출되기도 했던 오름이었으나 최근에는 거의 개민들레 등의 외래종들이 독점하여 자생하고 있고, 본래의 자생식물들이 거의 자취를 감추고 있어 안타까움이 들게 하는 오름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제주도 북제주군 구좌읍 종달리 산 26~47번지 일대

  남북으로 비스듬히 누운 이 오름은 부챗살 모양으로 여러 가닥의 등성이가 흘러내려 기이한 경관을 빚어내며 오름 대부분이 연초록 양탄자를 깔아 놓은 듯한 풀밭으로 이루어져 있다. 등성이마다 왕릉 같은 새끼봉우리가 봉긋봉긋하고 오름의 형세가 용들이 놀고 있는 모습이라는 데서 '용논이'[龍遊] 또는 마치 용이 누워있는 형태라는 데서 '용눈이'[龍臥]라고 했는지 모른다. 표고는 248미터이다.
  동쪽 비탈은 남동쪽으로 얕게 벌어진 말굽형을 이루고, 남서쪽 비탈이 흘러내린 곳엔 곱다랗게 생긴 알오름이 딸려 있다. 오름 위에는 굼부리가 있고 그 둘레에는 큰덩치의 세 봉우리가 둘러서 있는데 북동쪽의 것이 가장 높다. 오름 기슭에는 용암 부스러기로 이루어진 언덕이 산재해 있고, 지피식물(地被植物)인 미나리아재비, 할미꽃, 꽃향유 등이 자생하고 있다. 오늘날의 지도에는 '용와악'(龍臥岳)으로 표기하고 있으나, 원래 이름은 '용논이오름' 또는 '용눈이오름'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동영상] SS852037


[동영상] SS852038


[동영상] SS852039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동영상] SS852042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동영상] SS852045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예전에 보이지 않던 풍력발전기가 6기 설치되어 있다.


[동영상] SS852048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오른쪽 초지로 보이는 오름이 손자봉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반응형
소재지 : 제주시 구좌읍 종달리 산28번지
표   고 : 247.8m
비   고 : 88m
둘   레 : 2,685m
면   적 : 404,264㎡
저   경 : 773m

  송당에서 성산읍 수산으로 가는 16번도로로 약 3Km 지점의 두갈래 길에 손자봉과 이웃해 있는 오름이다.
  산정부는 북동쪽의 정상봉을 중심으로 세봉우리를 이루고, 그안에 동서쪽으로 다소 트여있는 타원형의 분화구가 있으며, 전체적으로 산체는 동사면쪽으로 얕게 벌어진 말굽형 화구를 이루고 있다.
  서서면 기슭에는 정상부가 주발모양으로 오목하게 패어있는 아담한 기생화산과 원추형 기생화산인 알오름 2개가 딸려 있어, 용눈이오름은 여러종류의 화구로 이루어진 복합형 화산체라고 할 수 있다.
  오름 기슭자락에는 따라비나 둔지봉, 서검은오름의 주변과 같이 용암암설류(volcanic debric flow)의 언덕이 산재해 있는데, 이는 용눈이 화산체가 형성된 뒤 용암류(熔岩流)의 유출에 의해 산정의 화구륜(火口輪) 일부가 파괴되면서 용암류와 함께 흘러내린 토사가 이동, 퇴적된 것으로 알오름이나 언덕같은 형태를 이룬것으로 추정된다.
  이로 미루어 이 오름의 용암은 비교적 가까운 시기에 분출된 용암으로 판단되고 있으며 '기생화산'이라는 용어는 원론적으로 한라산 순상 화산체의 화산산록상에서 화산분화활동에 의해 만들어진 소화산체이므로, 용눈이오름과 주변의 오름과 같이 한라산 중산간을 돌아가며 화산용암류의 산록상에서 분화구를 갖는 작은 화산을 의미한다.
  오름의 전사면은 잔디와 함께 풀밭을 이루는 아름답고 전형적인 제주오름의 모습이며, 지피식물로서 미나리아재비, 할미꽃 등이 식생하고 있다.

※ 오름명의 유래
ㆍ마치 용이 누워있는 형체라는 데서 연유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한자로는 용와악(龍臥岳)으로 표기돼 있다.
ㆍ산 복판이 크게 패어있는 것이 용이 누웠던 자리 같다고 해서 용눈이오름이라 부른다는 설도 있다.

제주도(1997.12.20), 제주의 오름, pp. 286~28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