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재지 : 서귀포시 성산읍 시흥리 산 1-5번지

[두산봉]
표   고 : 126.5m
비   고 : 101m
둘   레 : 3,631m
면   적 : 924,938㎡
저   경 : 1,232m

[알오름]
표   고 : 145.9m
비   고 : 51m
둘   레 : 1,613m
면   적 : 142,515㎡
저   경 : 463m

  성산읍 시흥리 시흥초등학교 뒤편에 위치한 오름으로, 시흥초등학교 남쪽으로 난 농로를 따라가면 오름 정상까지 오를 수 있으며, 이길은 오름 분화구내를 관통하여 구좌읍 종달리로 연결되어 있다.
  이 오름은 응회환으로 된 수중분화구 내부에 이차적으로 생성된 화구구(火口丘)인 분석구를 갖고 있는 전형적인 이중식 화산체이다.
  동사면에서 남사면에 이르는 화구륜은 침식되어 절벽을 이루고 있으며, 반대쪽인 북서쪽 사면에는 풀밭의 평지를 이루고 있다.
  이 화산체의 형성과정은 단성(單成)의 이중식(二重式) 화산(火山)의 이론으로 설명이 가능하다. 제주도의 해안지역에서는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화산체가 일정한 경향을 보이며 분포하고 있다. 특히 이들 지역중에서도 성산포지역과 모슬포지역이 대표적인 모식지(type locality)라고 할 수 있다.
  성산포지역은 일출봉과 두산봉, 그리고 쇠머리오름으로 이어지는 삼각지대의 수중화산이자 융기지형으로, 수중화산쇄설성 퇴적층이 만들어진 시대는 서로 다를지 모르나 현재의 표고를 감안할 때 이 세 화산체의 수중화산쇄설성퇴적층들은 상당한 높이에 까지 융기된 것을 알 수 있다.
  두산봉은 얕은 바다속에서의 화산분출활동에 의해 응회환의 퇴적층이 형성된 후에 퇴적층 자체의 성장과 함께 융기활동에 의해 기생화산체의 환경이 수중에서 육상으로 변하게 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어서 계속된 분화활동은 화구가 직접적인 물과의 접촉이 차단된 육상환경으로서 소위 스트롬볼리식 분화활동에 의해 화구구(火口丘)인 스코리아(송이)로 이루어진 새로운 분석구(scoria cone)를 만든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즉, 응회환(tuff ring)의 화구내에서의 또 다른 화산체인 화구구는 기생화산의 형성과정에 있어 수중환경에서 육상환경으로의 변화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런 기생화산을 단성(單成)의 이중식 화산이라고 하고 있다. 두산봉 응회환의 화구구를 마을사람들은 알오름이라 부르고 있다.
  남동쪽사면 중턱까지 곰솔숲을 이루고, 급경사지의 사면에 환경부 특정야생 동식물 지정된 왕초피(식-82호), 남서절벽 하부에 개상사화(식-22)가 식생하고 있고, 분화구 내에는 참억새와 띠가 군락을 이루며, 그 밑으로 야고가 집단적인 군락을 이루고, 북서사면의 느슨한 평지에는 풀밭을 이루면서 농경지가 조성되어 있다.

제주도(1997.12.20), 제주의 오름, pp. 387~388.
반응형
소재지 : 제주시 건입동 387-1번지 일대
표   고 : 96.2m
비   고 : 21m
둘   레 : 780m
면   적 : 35,659㎡
저   경 : 289m

  제주시 우당도서관 위쪽 사라봉과 별도봉 사이에 봉긋하고 자그마한 오름으로 별도봉쪽에 치우쳐 별도봉과 중첩되어 있으며, 오름 앞면을 깍아서 제주시 삼양수원지 정수장이 만들어져 있다.
  이 오름은 최초 제주도의 지질조사를 시작했던 때부터 제주도의 지질구조를 연구하는데 매우 중요한 조사지점으로 되어 왔다. 왜냐하면, 이 오름의 구성물질인 화산쇄설층(火山碎屑層)에서 제주도의 기저기반암으로 추정되는 화강암편이 포획암으로 다량 산출하기 때문이다. 이 화강암은 제주도의 기반을 제시하는 것으로서 한국 본토의 중생대 불국사화강암과 자주 대비되어 왔으며, 이로부터 제주화산체의 하부는 반도와 같은 불국사화강암으로 되어 있다는 것을 본 오름의 구성물질로 부터 최초 가상했던 것이다. 최근 제주도 도처에서 온천탐사를 위한 고심도의 지하심부 굴착 결과, 제주화산도의 심부에는 응회암과 화강암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 알려지고 있다.
이 포획 화강암편을 볼 수 있는 노두는 본 오름과 사라봉 사이의 바닷가로 내려가는 급경사의 사면 소로길을 따라 내려가면 해안에서 본 쇄설암층과 그 속에서 포획된 포획 화강암편을 관찰할 수 있다. 이 노두는 제주도의 기저(基底) 지질구조를 연구하는데 귀중한 곳이며 학술적으로 매우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는 곳이라고 할 수 있다.
  주변 3개의 오름의 형성시기별 시대 구분은 야외지질조사와 항공 사진 판독결과에 의하여 본 별도봉알오름이 가장 먼저 형성되고, 그 다음 별도봉이 형성되었으며 가장 나중에 분석구인 사라봉이 만들어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므로 본 알오름은 그 구성물질이 일반 분석구와 다를뿐만 아니라 형성시기도 비교적 오래된 것으로 판단된다.
  전체적인 식생은 수목이 없고 단초형 식물군락이 분포하고 있는 아담한 풀밭 오름이다.

어원
 ㆍ
제주도(1997.12.20), 제주의 오름, pp. 155~156.
반응형


실은 이번 동영상 화질이 안 좋아서 버릴려고 했습니다.

혹시나 제주도를 떠나 계시면서 예전 동거미에 대한 추억 가지신 분들 추억에 잠겨 보시라고 허접하지만 올립니다^^

지금 이 장면은 오름 주변의 모습과 오름이라고 부르기 어려운 작은 동산(알오름)을 찍은 모습입니다만, 화질이 안 좋아서 잘 안보입니다;;

그리고 제주도 분들은 혹 보이실지 모르겠습니다만, 이 주변이 명당이 많아서 무덤들이 많이 보입니다;;

좀 아쉬움이 남는다면, 주변 송전탑들도 보인다는 거죠-.-
반응형

[사라봉] 알오름과 별도봉 31

제주시 2001. 9. 29. 19:02 Posted by jejulife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라봉] 알오름과 별도봉 31
반응형